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새로워진 출산 육아 지원정책

by cogone 2025. 2. 10.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2025년, 대한민국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자 출산 및 육아 지원정책을 대폭 강화하였습니다. 이번 개편은 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주요 변경 사항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육아휴직 제도 강화

가. 육아휴직 기간 연장 및 급여 인상

  • 기간 연장: 부모가 각각 육아휴직을 3개월 이상 사용하거나, 한부모 또는 중증장애아동 부모인 경우, 육아휴직 기간이 기존 1년에서 최대 1년 6개월로 연장됩니다.
  • 급여 인상: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이 월 최대 150만 원에서 250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또한, 기존에 급여의 25%를 복직 후 지급하던 사후지급금 제도가 폐지되어, 육아휴직 기간 동안 전액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나. 분할 사용 횟수 확대

  • 육아휴직을 최대 4번에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분할 사용 횟수가 확대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부모는 육아휴직을 더욱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 휴가 기간: 배우자 출산휴가가 기존 10일에서 20일로 늘어났습니다.
  • 사용 기한 및 분할 사용: 출산일로부터 120일 이내에 최대 4번에 나누어 사용할 수 있어, 가정의 상황에 맞게 휴가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3.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

  • 대상 기간: 임신 후 12주 이내 또는 32주 이후의 임신 근로자로 대상이 확대되었습니다.
  • 고위험 임신부: 고위험 임신부의 경우, 의사의 진단에 따라 임신 전 기간 동안 근로시간 단축이 가능합니다.

4.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

  • 자녀 연령 기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의 적용 대상 자녀 연령이 기존 만 8세(초등학교 2학년) 이하에서 만 12세(초등학교 6학년) 이하로 확대되었습니다.
  • 사용 기간: 육아휴직 미사용 기간의 2배를 추가로 사용하여 최대 3년까지 근로시간 단축이 가능합니다.
  • 최소 사용 기간: 최소 사용 기간이 기존 3개월에서 1개월로 단축되어, 부모의 상황에 맞게 더욱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5. 난임치료휴가 확대

  • 휴가 기간: 난임치료를 위한 휴가 기간이 기존 연간 3일(유급 1일 포함)에서 **연간 6일(유급 2일 포함)**로 늘어났습니다.
  • 급여 지원: 중소기업 근로자의 경우, 유급 휴가 2일에 대한 급여 지원이 신설되었습니다.

6. 출산전후휴가 및 유산·사산휴가 확대

  • 미숙아 출산 시: 출산전후휴가 기간이 기존 90일에서 100일로 늘어났습니다.
  • 유산·사산휴가: 임신 11주 이내 유산·사산 시 휴가 기간이 기존 5일에서 10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번 정책 개편을 통해 부모님들의 육아 부담이 한층 더 경감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고용노동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공식 홈페이지

 

고용노동부

지속가능하고 미래지향적인 노동시장 구축 일자리 기회는 확대하고 일터 문화는 혁신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겠습니다. 이전 슬라이드 다음 슬라이드 자동 넘김 정지 자동 넘김 재

www.moel.go.kr

 

또한, 아래의 영상을 통해 2025년 주기별 맞춤 출산육아 지원제도에 대해 한눈에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2025.02.10 - [분류 전체보기] - 2025년 새롭게 바뀐 출산·육아 지원정책: 제왕절개 및 조리원 비용 지원

 

2025년 새롭게 바뀐 출산·육아 지원정책: 제왕절개 및 조리원 비용 지원

출산과 육아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2025년부터 제왕절개 분만 비용 및 산후조리원 비용 지원을 확대합니다. 특히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cogone.tistory.com

 

728x90
반응형